프로그래밍은 영원한 취미?

프로그래밍은 영원한 취미?
김광섭

언젠가 신문기사 중에서 10대들이 가장 선호하는 직업 중에 프로그래머도 끼어 있었던 기억이 난다. 그리고 국내에서도 프로그래밍에 관련된 잡지가 적지 않은 것을 보면 이제 프로그래밍이라는 것은 결코 낯선 말이 아니다. 이제 프로그래밍을 시작하는 사람이나 이미 직업으로써 일을 하고 있는 사람들과 이 프로그래밍이라는 것에 대해 생각해 보면 좋을 것 같다. 일단은 현재의 PC가 탄생하기까지의 과정을 잠시 살펴 보자.

사실 필자가 처음 컴퓨터라는 것을 접했을 80년도 중반 당시에는 프로그래밍이라는 것은 이상한 사람들이나 하는 것으로 여겨지던 시절이었다. 물론 당시에는 지금은 너무나도 친숙한 컴퓨터인 IBM PC라는 것이 컴퓨터 선진국이라는 미국에서조차 대중화 되지 않았던 시절이니 당연하다. 물론 이미 1981년에 IBM-PC는 세상에 첫 선을 보였고 그전에 나온 Apple II가 상업적으로 성공을 거두고 있던 시절이지만 대부분 상업적인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었고 그때까지 일반인들에게는 컴퓨터에 관한 얘기는 먼 나라 얘기 였다.

일반인들이 알 수 있는 수준으로 보자면 만화뿐만 아니라 백과사전 같은데도 컴퓨터는 커다란 눈(사실은 자기테이프지만 모르는 사람에게는 눈처럼 보였고 필자도 그런 느낌을 받았었다.)이 달린 집채만한 아주 고가의 장비라서 그것을 만지는 사람은 대단한 사람으로 그려지던 당시에는 프로그래밍을 한다는 것은 생각하지도 못할 뿐만 아니라 프로그래머는 전세계를 통틀어도 많지 않았으므로 프로그래밍을 한다는 것은 특정 연구소의 연구원이나 대학의 교수진 등 극 소수의 사람만이 생각해 볼 수 있었다. 그때 쯤 국내에서는 겨우 대형 시스템에 터미널을 통해서 접속할 수 있는 기회를 학생들에게 제공하기 시작 했다. 비로소 국내에서 일반인들도 컴퓨터를 접해 볼 기회를 갖게 된 것이다. 물론 이전에도 천공카드를 통하여 작업은 이루어 지고 있었으나 터미널을 통하여 다수의 사람이 동시에 사용하게 된 것은 나름대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하지만 이러한 대형 시스템은 프로그래밍이 대중화된 개념으로 다가오는데 큰 도움을 주지는 못했다.

반면에 지금도 많은 사람들이 기억하고 있을 Apple II는 전세계적으로 성공을 거둔 제품일 뿐만 아니라 컴퓨터의 대중화에 기여한 바가 크다. 스티브 워즈니악과 스티브 잡스가 창고 구석에서 만들어낸 애플이 태어나기 전에 이미 만들어진 알테어(Altair)라고 불리는 최초의 상업적인 컴퓨터는 의미가 크다. 그때가 1975년이었다. 폴 앨런과 빌 게이츠가 이 시절에 알테어를 위한 BASIC을 만들었다는 것은 우연일까? 그리고 그때 마이크로소프트를 설립했다. 그리고 워즈니악과 잡스도 그때쯤 Apple의 초기 모델을 만들고 그것을 1977년에 Apple II로 시장에 내 놓은 것이다. 그리고 그 이후 비지칼크(VisiCalc)라는 최초의 스프레드쉬트 (Spreadsheet)가 발표되면서 PC의 업무를 위한 제품으로서의 상업적 가치에 대하여 인정받기 시작하였으며 이런 가능성에 힘입어 1981년에는 IBM-PC가 첫 선을 보이고 마이크로소프트의 MS-DOS, 로터스의 Lotus 1-2-3 등이 시장에 나왔으며 그 이후로는 비약적인 발전을 거듭하여 지금의 PC까지 오게 된 것이다. 물론 다른 컴퓨터들도 있었으나 대중적인 인기를 얻은 Apple II와 IBM-PC는 그에 상응하는 많은 프로그래머들을 탄생하게 하는 기회를 제공해 주었으므로 그 가치가 더 높다고 보는 것이다. 많은 프로그래머가 없었다면 애플의 그 많은 게임과 IBM-PC의 그 많은 사무용및 개인용 어플리케이션과 게임들이 세상에 나올 수 없었을 것이다.

자 이제 다시 프로그래밍이라는 원래의 이야기로 돌아가 보자. 필자는 프로그래밍을 하는 사람을 크게 두 가지로 본다. 하나는 본인의 취미로 즉, 프로그래밍이라는 것 자체가 재미가 있어서 그렇고 다른 하나는 생계의 수단으로 자신의 프로그래밍 능력을 보수를 받고 제공하는 직업의 경우다. 물론 직업이자 취미일 수도 있다. 그리고 프로그래밍을 통하여 자신의 메시지를 전달하고자 하는 더 큰 목적이 있을 수도 있다. 하지만 취미와 직업으로 분류한 것은 책임을 지느냐 마느냐라는 것을 기준으로 하는 분류이므로 이런 기준을 가진다고 생각하며 얘기를 해 보겠다.

일단 취미로 프로그래밍을 하는 경우 대부분의 사람들은 재미있다고 한다. 그 이유는 단순하다. 어떤 취미든지 본인이 선택한 경우 재미 없을 리가 있겠는가. 프로그래밍이라도 예외는 아니다. 본인이 취미로 선택한 것이라면 아무리 어려운 일이라도 재미 있을 것은 당연하다. 등산을 취미로 하는 사람이 높은 산에 오르는 것이 힘들어서 그만두는 경우가 얼마나 있을까? 취미 생활에 심취한 사람일 수록 오히려 더 높은 산 힘든 코스를 고르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프로그램이 취미인 사람도 신기술, 새로운 테크닉이 알려지면 하나라도 더 알려고 노력하는 경우가 많은 것이다. 하지만 취미로 프로그래밍을 하는 경우에 한계가 있을 수 있다. 모두 그런 것은 아니지만 너무 어려운 것은 피하려는 성향과 누구에게나 편하게 만들기 위한 노력을 덜 한다. 전문 산악인이 되기 위해서는 단지 취미로 등산을 좋아 하는 것으로는 부족한 것과 같은 경우라고 볼 수 있다. 본인이 취미로 만든 프로그램의 경우 대다수가 일반인이 사용하기에는 불편한 부분이 존재한다. 흔히 이야기 하는 UI부분에 신경을 많이 못쓰는 것도 그렇고, 예상하지 않는 동작에 대한 예외 처리가 미흡하며 특정한 환경에서만 동작하는 등 일반적이지 못하다는 평가를 많이 받게 된다. 하지만 이렇게 취미로 프로그래밍을 하는 경험 많은 아마추어 프로그래머들이 직업적인 프로그래머보다 기술적으로 뒤 떨어 진 것이라고 보기는 힘들다. 정확하게 표현하자면 직업 프로그래머로서의 훈련이 부족하다 라고 하는 것이 옳다.

그렇다면 직업 프로그래머는 취미로 프로그래밍을 하는 아마추어 프로그래머와 어떤 점이 다를까? 이외로 단순하다. 프로그래밍을 한다는 것은 같지만 그 프로그램이 상품적 가치가 있어야 하므로 기본 기능 이외에 훨씬 많은 곳에 신경을 쓴다는 것이다. 그리고 본인이 생각보다 타인의 생각이 제품에 많이 반영된다는 것도 다른 점일 것이다. 특히 최근의 제품들을 보면 편리한 UI라는 것을 강점으로 내세우는 것들이 많다. 하지만 이러한 UI에 관련된 코딩은 보기보다 시간이 많이 걸린다는 것을 안다면 직업적인 프로그래머의 고충을 짐작 할 수 있을 것이다. 프로그래밍을 조금 배우고 나서 누구나 한번쯤은 만들어 보게 되는 전화번호부 같은 프로그램을 예로 보자. 취미로 만든 경우에는 기본 기능과 본인이 특별히 원하는 기능에 치중하게 된다. 즉, 원하는 사람을 쉽게 찾을 수 있는 것이 가장 기본적인 기능이므로 이 기능을 구현하고 나면 이제 다 되었군 하는 생각을 하기가 쉽다. 하지만 그게 상업적 가치를 가지는 제품을 만드는 경우라면 얘기는 다르다. 나는 일년에 한번쯤 쓸까 말까 한 기능이지만 어딘가에 있을지 모르는 사용자의 요구를 위하여 여러 기능이 추가된다. 편지 봉투 찍기 같은 기능은 개인이 친구 몇 명의 전화번호를 관리하는데는 크게 필요하지 않은 기능이겠지만 전문적으로 광고문을 발송하는 업체 들에게는 꼭 필요한 기능이므로 추가 해야 할 것이며 전화번호로 찾기 등은 호출기를 많이 사용하는 사람에게는 필요할 것이며, 전자 우편 주소를 입력하는 난은 전자우편을 사용하지 않는 사람에게는 전혀 필요하지 않지만 그렇지 않은 사람에게는 꼭 필요한 데이타 일 것이다. 또한 마우스보다 키보드를 사용하는 게 더 편한 사람들을 위하여 단축키를 적절히 배치하고 보다 편리하게 사용하기 위하여 단축키 설정을 바꿀 수 있게 하기 위하여서는 그 만큼 더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다.

이처럼 두 가지의 경우를 구분해서 얘기 해 놓았지만 실제는 조금 다르다. 많은 소프트웨어 회사는 뜻이 맞는 몇 사람이 모여 시작하게 된다. 그리고 그 뜻 이라는 것은 이미 서로 공감하는 어떤 제품이나 기술인 경우가 많다. 따라서 이런 경우 취미와 직업이 같은 경우가 되며 국내의 여러 소프트웨어 회사는 이러한 프로그래머가 많다고 보인다. 위의 구분을 가지고 보면 프로그래밍 그 자체에 대한 재미는 가지고 있지만 생존하기 위한 직업이 된 경우다. 사실 필자가 얘기 하고 싶은 것은 이러한 사람들에 대한 얘기다. 어차피 취미이거나 직업인 경우가 분리된다면 특별히 할 얘기도 없기 때문이다. 취미인데 뭐라고 한다는 것은 웃기는 얘기고 직업인데 좋다 나쁘다를 얘기한다는 것도 말이 안되기 때문이다.

컴퓨터를 좋아하고 프로그래밍이 취미인 많은 전문 프로그래머들은 가끔 혼자만의 고민에 빠지는 경우가 많다. "나는 취미와 직업이 같은 항상 재미 있는 일을 하고 있어", "훌륭한 프로그램을 만들어 성공해야지". 등 긍정적이고 미래지향적인 생각은 현실에 부딪혀 깨지기가 쉽기 때문이다. 대부분의 회사는 회사 나름대로의 독특한 색깔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대부분이 그러한 색깔을 파악하고 취업하지만 실제 맡게 되는 일은 그러한 일과는 거리가 먼 작업이 되는 경우가 많다. 그래서 분명히 컴퓨터를 좋아하고 취미가 프로그래밍인 것도 맞지만 분야가 다른 일, 자신의 취향과 맞지 않는 일을 맡게 되는 경우 스스로의 벽에 부딪히게 된다.

그렇다면 이런 경우를 근본적으로 해결하는 방법은 없을까? 서로 다른 생각을 가진 사람이 워낙 많기 때문에 딱 부러지게 결론을 내릴 수는 없지만 필자의 생각으로는 가능하다고 생각한다. 흔히들 취미와 직업이 같은 경우 당연히 직업이 취미를 따라와 주길 바라게 된다. 하지만 이런 생각은 세상은 나를 중심으로 서 있다는 신세대의 생각으로는 당연한 것 일지 모르나 무엇인가는 만들어 내고 그 제품이 회사를 운영하는 밑거름이 된다는 일반적인 직업 논리와는 어울리지 않는 생각이다. 물론 방법론 중의 하나로서 회사가 그러한 개인의 취향을 십분 이해하여 그러한 방향으로 제품을 만들어 낸다면 문제는 없을 것이다. 하지만 더 중요한 것 중의 하나가 성공할 만한 제품을 기획해 내고 그 프로젝트를 추진하기 위해서 시행착오를 많이 겪어 왔던 선배들의 생각을 존중해 주고 선배는 후배들의 새로운 아이디어를 새로운 프로젝트에 접목하는 포용력을 발휘해 주는 서로간의 이해해 주는 마음가짐이다.

즉, 서로의 입장을 이해하고 조금씩 양보를 할 필요가 있다. 지금 당장 원하는 것을 해 줄 수 없다면 언제는 가능한지를 미리 이해 시켜주는 회사는 무조건 주어진 일을 정해진 시간 내로 해 놓기 만을 바라는 회사보다는 더 좋은 회사일 것이다. 물론 원하는 것을 들어줄 여력이 안되는 경우라면 그럴 수 없다고 미리 말 해 주는 것도 좋을 것이다. 프로그래머들이 재산인 소프트웨어 회사가 능력 있고 미래에 대한 생각이 뚜렷한 프로그래머들에게 비전도 심어주지 않고 적절한 보상도 해 주지 않고서 그 회사의 밝은 미래를 그릴 수는 없을 것이다. 물론 반대의 입장으로 프로그래머는 여러 가지 능력을 배양해야 한다. 그렇지 않고서는 쏟아지는 프로그래머들 중 더 나은 프로그래머를 선택할 수 있는 것이 회사의 고유 권한이기 때문이다.

자 다시 취미 얘기로 돌아와 보자. 사실 이 책을 읽고 있는 독자라면 이미 취미건 직업이건 프로그래밍에 대하여 관심이 있는 사람들일 것이다. 하지만 어떤 일을 하든지 그 일을 재미 있게 처리하기 위해서는 관심과 노력이 필요하다. 다른 말로 그 일에 취미를 가져야 한다. 어차피 관심은 가지고 있다면 강제로 취미를 갖기는 힘들기 때문에 노력이 필요한 것이다. 또 예전에는 취미가 있다고 생각했는데 지금은 직업이 되어서 재미가 없다는 사람도 있을 것이다. 역시 노력이 부족하다고 볼 수 있다. 취미라면 잘하든지 못하든지 재미가 있어야 한다. 다시 말해 재미를 찾는 것이 취미를 갖는데 혹은 다시 취미가 되기 위해 필요하다. 그럼 어떻게 재미를 가질까? 혹은 어떻게 재미를 되찾을 수 있을까?

프로그래밍이 재미가 없다고 하는 독자들은 한번쯤 같이 생각해 보자. 원래 처음부터 재미가 없다면 다른 프로그래머들이 재미 있다고 하는 일을 한번쯤은 해 보는 것이 좋다. 이미 다른 사람에 의해서 만들어진 프로그램을 아무것도 없는 상태에서 똑같이 만들어 보는 것, 아니면 조금 바꾸어서 만들어 보는 것, 혹은 세상에서 하나뿐인 새로운 프로그램을 만들어 보는 것 그 어떤 것이라도 좋다. 중요한 것은 직접 내 시간을 투자하여 만들어 본다는 것이다. 그리고 직업 프로그래머들인 경우에는 업무 시간이 아닌 혼자만의 시간에 해야 한다. 영화나 등산, 독서 등은 왜 내 시간을 투자하면서 취미를 갖고 싶은 프로그래밍에는 시간 투자를 하지 않는가? 그저 시간이 지나면 훌륭한 프로그래머가 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그것이 취미거나 아니거나 투자한 시간 만큼 더 숙련된 프로그래머가 되는 것이다. 그리고 예전에는 취미를 가졌었지만 지금은 아니라고 하는 사람들에게 물어 보고 싶은 것이 있다. 최근에 스스로 생각하고 혼자만의 시간을 투자해서 혼자만의 프로그래밍을 해 본 경험이 있는가? 그렇다면 다른 취미 생활 역시 하지 않았는가? 아니라면 스스로 프로그래밍이라는 취미를 놓아 버린 것은 아닐까?

많은 사람들이 취미를 직업으로 삼으면 취미를 잃는다고 한다. 하지만 좀 더 생각해 보면 그 만큼 행복한 경우가 또 없을 것이다. 그것은 사랑하는 연인과 결혼한다고 그 연인이 미워지는 것은 아닌 것과 같은 이유다. 단지 살아가는데 부딪히는 여러 가지 어려움들을 슬기롭게 극복하지 못하는 이유라면 그것을 당연하게 받아 들이지 말고 이겨나가야 되는 것이다. 필자는 특히 프로그래밍은 영원한 취미로 삼을 만 한 것이라고 생각한다. 어렸을 적에는 내가 즐기기 위한 게임을 만들 수 있고, 커서는 업무나 일상생활에 필요한 나만의 도구를 만들고, 나이가 들어서는 가물가물 해가는 기억을 도와주는 도구를 스스로 만들어 사용할 수 있다고 생각하기만 해도 얼마나 뿌듯한가. 물론 사서 쓰면 된다. 하지만 직접 해 먹는 요리가 나름대로 맛이 있듯이 프로그래밍이 취미라면 틈틈이 만들어 쓰는 것이 재미 있을 것이다.

세상에는 많은 취미 생활이 있다. 그리고 프로그래밍도 그 중의 하나다. 프로그래밍을 취미로 갖고 싶어하는 사람들, 취미를 잠시 잃어 버린 사람들 그리고 취미인 사람들 이제부터 자기 소개서에 당당하게 쓰자 내 취미는 프로그래밍이라고...


이 글의 저작권은 원작자에게 있습니다.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센스
Creative Commons License
이올린에 북마크하기

Posted by 홍반장

2006/10/31 17:06 2006/10/31 17:06
Response
No Trackback , No Comment
RSS :
http://tcbs17.cafe24.com/tc/rss/response/2059

Trackback URL : http://tcbs17.cafe24.com/tc/trackback/2059

« Previous : 1 : ... 658 : 659 : 660 : 661 : 662 : 663 : 664 : 665 : 666 : ... 1009 : Next »

블로그 이미지

- 홍반장

Archives

Recent Trackbacks

Calendar

«   2024/11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Statistics Graph

Site Stats

Total hits:
244986
Today:
264
Yesterday:
1073